ABOUT

Jungok Joo is a digital architecture artist based in Seoul. Her work reinterprets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a contemporary context, creating timeless digital architectural visuals. Born in Seoul, she spent her teenage years in the UK and France, where she became fascinated by architecture and art. She later moved to New York, USA, where she earned a Bachelor’s degree in Architecture from Pratt Institute in 2008 and a Master of Science in Advanced Architectural Design from Columbia University in 2012.

Joo experienced various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while studying abroad, traveling between Kore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ith a unique identity that blends Korean heritage and eclectic sensibilities, she expresses an emotional fus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architectural elements through her video works. By combining distinctive patterns that reflect cultural identity, geometric elements, and nature-inspired colors, she conveys aesthetic value in her art.

Amid the pandemic, Joo began creating digital videos that evoke the healing power of Seoul's urban parks, where historic trees, flowers, and traditional Hanok architecture coexist in captivating harmony. Using 3D modeling and rendering techniques, she brings her artistic vision to life, creating ideal scenarios that emphasize the coexistence of humanity, nature, and architecture.

Joo explores the emotional connections of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fundamental elements of emotional healing spaces such as homes, pavilions, and alcoves. Her work invites viewers to find inspiration, solace and resilience amid the rapid changes and uncertainties.

주정옥은 서울에 기반하는 디지털 건축 작가이다. 작가는 한국 전통 건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시대를 초월하는 디지털 건축 영상을 제작한다. 작가는 서울에서 태어나 영국과 프랑스에서 10대 시절을 보내며 건축과 예술에 매료되었다. 그 이후 미국 뉴욕으로 이주하여, 프랫 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컬럼비아 대학교 건축석사를 졸업했다. 

작가는 유학 시절 한국과 유럽, 미국을 오가며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를 경험했다. 한국적 정체성과 이색적인 감각이 어우러진 고유한 개성으로 전통과 현대, 동서양의 건축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정서적 융합을 영상 작품으로 표현한다. 문화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고유한 패턴과 기하학적 요소,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색채를 결합하여 미학적 가치로 담아낸다.

펜데믹 기간 동안 서울 도심 공원의 역사 깊은 나무와 꽃, 한옥의 아름다운 색채와 향기로 부터 영감을 받아 치유의 힘을 선사하는 디지털 영상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3D 모델링과 렌더링 기술을 활용하여 건축의 예술적 비전을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복잡한 도시의 삶 속에서 내면의 치유와 회복의 힘을 전하고자 하며, 집, 정자, 알코브와 같은 치유의 원시적 공간 요소들을 통해 인간과 건축이 신비로운 자연과 공존하는 현대 사회의 정서적 연결고리를 탐구한다.